반응형

요즘 부동산 하락기를 맞이하면서 많이 나오는 말로, '역월세'라는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비슷한 말로는 '역전세'라는 말도 있죠. 왜 요즘 역월세라는 말이 나타나고 있을까요? 그리고, 내가 임차인이나 임대인일때 역월세를 하는 것이 더 좋을까요?


역월세란?

역월세는 부동산 가격이 하락할 때 나타나는 우리나라의 특이한 현상으로, 임대차 월세 계약을 유지하거나 갱신하는 조건으로 임대인(집주인)이 오히려 임차인(빌린사람)에게 매달 월세를 내는 현상을 말합니다.

 대개, 월세라는 것은 임차인이 임대인에게 돈을 내는 것인데 반대로 임대인이 임차인에게 주는 것이죠. 이런 일이 왜 이러나는 것일까요?

 

 이는 우리나라의 전세 제도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대개 집주인은 전세금을 받았을 때 이 목돈을 활용하여 사업 자금에 쓰거나 주식이나 부동산에 투자하는 형식으로 운용을 합니다. 그렇다면 기존의 전세금은 기존의 세입자가 이사를 할 때 새로운 세입자를 구해 그 전세금을 기존의 세입자에게 지급하는 것이 아주 일반적인 사례입니다.

 

 다만, 지금과 같이 부동산 하락기에 전세 시세가 하락하면, 신규 세입자에게 받은 전세금액이 기존 세임자에게 돌려줘야하는 금액보다 적어지기 때문에 그 차액을 기존 세입자에게 어떻게든 구해서 줘야하는 거죠. 하지만, 집주인이 바로 전세금을 구하지 못하는 경우에 기존의 세입자와 합의를 봐서 낮아진 전세시세 만큼의 차액을 분할하여 반환하도록 계약하는 것이죠. 기존 세입자가 경매를 통해 전세금을 돌려받기 까지엔 절차도 매우 복잡하고 시간도 많이 걸리니 말입니다.


역월세는 이득일까?

 여기에 대해서 완전한 정답은 없지만, 이 몇 가지를 고려해야합니다.

 

1. 역월세와 대출금리

-현재는 금리인상기이기 때문에, 집주인의 역월세보다 실제 대출이자가 더 오를 수 있습니다.

 

금리인상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글을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빅스텝 자이언트스텝 울트라스텝 뜻 / 금리인상 관련 용어를 스텝 바이 스텝!

 

2.역월세에 대한 세금

- 역월세도 엄연한 소득이기 때문에, 역월세에 대한 세금을 내야합니다. 합산과세대상이 되어 근로소득과 합쳐 세율이 올라갈 수 있기 때문에, 돈을 많이 버는 사람이라면 세금을 더 낼 수 있습니다.

 

3.당장 목돈이 필요한가?

- 앞으로 목돈을 써야하는 경우가 있다면, 돈을 못 받는 것 자체가 큰 리스크입니다. 차라리 먼저 보증금을 돌려받고 다음 집을 더 싸게 구하라고 말하는 것이 더 좋겠습니다.


역월세 주의점

만약 역월세 제안을 받으려면 다음과 같은 말을 꼭 써야합니다.

 

1. 기존의 계약서에 '대항력은 유지'한다는 말을 꼭 서야합니다.

2. 지급일과 지급 금액을 확실히 해야합니다.

3. 이자 지급이 밀릴 시에 대한 단서를 달아야합니다.

4. '대여금'이라는 개념으로 공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공증이 있으면 별도 소송 없이 집주인의 재산을 강제집행하여 돈을 받을 수 있다.


마무리

오늘은 우리나라의 특이한 '전세'제도 때문에 일어나는 역월세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역월세에 대한 주의점은 위와 같이 정리했으니 자신의 현재 상황이 어떠한지를 잘 살펴보고 계약을 맺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같이 보면 좋을 글👇

 증권형 토큰(토큰 증권) / 조각투자와 토큰증권으로 이제 손쉽게 투자한다!

 Bondee 본디 회사 개인정보 방꾸미기 플로팅 / bondee가 무슨 SNS? 다른 SNS와의 차별점은? 개인정보 유출?

 하이브 카카오 SM 인수전 SM급등이유? / SM은 더 이상 SM이 아닐 수도 있다?

유튜브 쇼츠 수익 계산 쇼츠펀드/ 쇼츠는 얼마나 돈이 될까? 쇼츠에 광고비 추가된다고?

일본의 경제와 엔저, 킹달러 / 30년 전으로 돌아간 일본 경제? 그 이유는?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